Think Thing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Think Thing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20)
    • Study (16)
      • Computer Science (2)
      • Web (6)
      • Git (4)
      • Etc. (4)
    • Life (4)
      • IT (3)
      • EAT (0)
      • Review (1)

검색 레이어

Think Thing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Study/Computer Science

  • UTF-8

    2021.12.21 by 2 Mir

  • PNG vs JPG(JPEG)

    2021.12.14 by 2 Mir

UTF-8

1학년 때 컴퓨터 개론에서 아스키 코드(ASCII-code), 유니 코드(Uni-code)에 대한 내용을 살짝 스쳐간 기억이 있다. 둘 다 숫자로 문자를 표현하는 방식인데,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면 아스키 코드 - 128개(7비트)의 문자를 사용 - C언어의 char는 1바이트인데? => 남은 1비트는 통신 에러 검출을 위한 패리티 비트(Parity Bit) - 영어만 존재 => ASCII의 A가 American임 유니 코드 - 전 세계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국제 표준 코드 등장 - 처음에는 2바이트(65,536)에 모두 담을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, 어림도 없었음 - 계속 업데이트 중(14.0 버전이 지난 9월 22일에 나왔다고 함) - UTF-8, UTF-16, UTF-32 등 다양한 인코딩 방식이 존재..

Study/Computer Science 2021. 12. 21. 22:17

PNG vs JPG(JPEG)

세상에는 다양한 파일 형식이 있다. 그중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대표적인 형식으로 PNG와 JPEG가 있는데, 오늘은 이거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. PNG: Portable Network Graphics PNG의 등장 배경은 초창기 인터넷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. 그때에는 모든 그림 파일이 GIF 형식(지금 움짤에 쓰이는 그것과 동일)을 사용하고 있었다고 한다. 그 GIF에는 몇몇 단점이 있었고, 라이센스 관련 이런저런 이슈도 있어 새롭게 만들어진 형식이 PNG다. 256 색상만 지원하던 GIF와 달리, PNG는 오늘날 우리가 흔히 아는 RGBA 영역을 지원한다. 32-bit 트루 컬러라고도 표현하는데, 32-bit인 이유는 색상 코드 범위가 0x00000000 ~ 0xFFFFFFFF이기 때문이다. ..

Study/Computer Science 2021. 12. 14. 22:03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Think Thing © LeeMir
메일

티스토리툴바